올해로 19번째를 맞은 ‘바다의 날’이
세월호 사고 처리와 추모 분위기로 침울하게 그렇게 지나갔습니다.
정부의 기념식은 물론 관련기관단체의 행사도 모두 취소됐습니다.
해양사상을 고취하기 위해 국민적인 축제의 날로 정해진
‘바다의 날’이 치명적 해양사고의 후유증으로 인해 설 자리를 잃은 것입니다.

日常의 안전이 얼마나 중요한 지 새삼 깨닫습니다.
안전한 일상을 위해 많은 이들이 자기책임을 다하지 못하면
일순간 모든 것을 잃거나 모두가 혼란에 빠질 수 있음도 절감하게 됩니다.
선박의 안전문제를 계기로 우리사회는 사고의 예방조치는 물론
화재와 지진 등 각종 사고와 재난에 대처하는 안전문제를 재점검하게 됐습니다.

최근 국회에서 발의된 안전관련 법안만 30개가 넘으며
정부도 안전 관련법과 제도의 개선책을 연일 내놓고 있습니다.,
IMO 등 국제사회 역시 안전규제 강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수사를 통해 사고의 원인이 조금씩 드러나고 있습니다만
아직 전문기관에 의해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지는 않았습니다.
정확한 원인규명에 기반한 재발방지책으로 이런 일이 결코 반복되지 않아야 합니다.

외항해운은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선박 안전을 감시하며 도모해나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연안해운에서의 사고를 기화로 외항해운에까지 불똥이 튀어
관련기관·단체들의 업무가 마비될 지경으로 침체된 상황입니다.
경제적 손실은 물론 해운산업 전반의 신뢰마저 상실될까 우려됩니다.
사고처리 과정에서 矯角殺牛의 우를 범하는 일은 없어야 하겠습니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