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에도 해운기업의 경영환경은 여전히 어렵기만 합니다.
 국내외 해운기업들의 2분기 경영실적이 잇따라 발표되면서
 상반기 세계 해운산업계 전반의 실적 악화가 표면으로 드러났습니다.
 

 그동안 선박 대형화와 에너지 효율화를 통한 비용절감으로
 큰 수익을 얻어온 머스크라인이 큰 폭의 손실을 보았으며
 장기불황에 끄덕없던 일본 대형선사들의 실적도 적자전환을 면치 못했습니다.

 
 국적선사들 역시 경영실적이 상당히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글로벌 정기선사는 물론 그동안 선방하며 양호한 실적을 내온 중견선사들마저
 지속적인 시황침체의 영향으로 이익이 크게 감소하거나 적자 전환한 상황입니다.
 

 해운기업의 개별적인 난국 타개책도 필요하지만 정책적인 지원이 긴요한 때입니다.
 때마침 정부가 ‘제 4차 해운산업 장기발전계획(2016-2020년)’을 발표했습니다.
 해운여건 변화에 맞춰 우리 해운업의 역량및 대응력을 강화한다는 정책방향이 담겼습니다.
 

 선박공급 과잉대책을 비롯한 해운금융 다양화, 위기관리체계 강화,
 해운내수 진작 및 선화주 협력 강화, 선원인력의 안정적 확보와 복지 강화 등
 4대 정책목표아래 10대 전략과 65개의 추진과제가 설정돼 있습니다.
 

 그 내용의 면면을 자세히 들여다보니 다 실현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이상적인 정책구호에 그치지 않고 우리 해운업계 현실에 맞추어진 
 추진과제들이 순차적으로 시의적절하게 시현되기를 바라마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