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적 외항선대 연간 1,269만톤 벙커소모 5조원 규모

 
 

탈황장치 탑재가능 국적선 596척 27.3억불 소요 추산

저유황유 1,121만톤 필요, 국내 공급 327만톤 규모
 

한국선주협회가 2020년부터 강화되는 황산화물(SOx) 규제 강화에 대한 국내 외항해운업계의 대응 가이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최근 글로벌 해운업계에서는 대형 유조선과 벌크선 등을 중심으로 스크러버 장착을 잇따라 결정하는 양태가 나타나고 있으며, 컨테이너 선사도 저유황유나 LNG선박연료로 채택하는 등 SOx 규제강화에 대한 대응방향을 결정하며 적극적인 대응태세를 보이고 있다. 그에 반해 국내 외항해운업계는 대량화물 화주와 거래하는 일부 벌크선사들과 유조선 선사, 대형 신조 컨선박 등이 스크러버 탑재를 결정한 것 이외에 전반적인 대응이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나 점차 강화되는 환경규제에 대한 대응력이 미래 해운산업에서 중요한 경쟁력 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선주협회의 SOx 규제강화에 대한 관련업계의 대응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기초자료 조사와 분석은 ‘시의적절한’ 조치로 환영할만하다.

선주협회는 회원사를 대상으로 한 최근 조사결과를 토대로 국적 외항선대에 필요한 연간 벙커 소모량과 황산화물 규제 강화에 대응하기 위해 탈황장치 설비 탑재시 필요한 비용, 그리고 탈황장치 탑재가 어려운 선박이 저유황유 이용시 필요한 저유황유의 규모 등을 추산해 해운업계와 관계당국, 그리고 정유업계 등의 대응을 이끌어낸다는 계획이다.

7월 12일 김영무 선주협회 상근 부회장은 해운기자단과의 간담회를 통해 IMO가 추진하는 2020년 황산화물 규제 대응방안과 관련, 고유황유와 저유황유간 가격차이가 IMO 예측대로 1.2배인 경우와 1.5배인 시장가인 경우 필요한 국적 외항선대의 연간 벙커 소모량, 탈황장치 설치 대상 선박과 소요비용, 저유황유 예상소모량 등을 추정한 결과 ‘IMO(현재) 유가 기준 SOx 배출규제 대응방안’내용을 설명했다. 또한 선주협회는 앞으로 시장상황에 따라 관련자료를 계속 업데이트할 것이며 이 자료를 토대로 필요한 정부의 지원을 이끌어내고 정유업계와 저유황유 공급 협의 등을 추진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선주협회 자료에 따르면, 고유황유와 저유황유간 가격차이가 IMO기준 1.2배의 경우 탈황장치 탑재에 대한 투자비용회수 기간이 5.9년이지만 시장가인 1.5배 차이가 날 경우 2.3년으로 투자비 회수가 가능하다. 이 자료에 따르면, 국적 외항선대의 연간 벙커 소모량은 연간 1,269만톤으로 5조원 규모에 달한다. 이는 자사선과 용선선을 합한 운항선박 1,441척을 대상으로 산출한 것이다. 이중 자사선 1,016척중 18년이상 노후선과 1만dwt이하 소형선을 제외하고 탈황장치를 탑재할 수 있는 선박은 596척으로 집계됐으며 여기에 소요되는 비용은 27.3억불로 추정됐다. 장기운송계약 선박 93척을 제외한 503척이 탈황장치를 설치할 경우 관련 소요비용은 21억 4,250불로 추산됐으며 이에 대한 금융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2020년부터 SOx 규제 강화가 시행된 이후 총 1,121만톤의 저유황유가 필요하고 이중 327만톤은 국내 공급이 필요하다. 이에 선주협회는 정유업계와 관련 규모의 저유황유 개발 공급에 대한 논의를 추진해나갈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선종별 국적 외항상선대의 탈황장치 설치대상 선박과 설치비용 추산내용에 따르면, 소형선과 노후선을 제외한 596척의 국적선박은 벌크선이 187척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케미칼선(110척), 컨테이너선 (100척), 자동차선(49척) 등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0.5% 저유황유 사용에 따른 국적 외항상선대의 연료비 증가액은 연간 연료 소모량 1,269만톤기준으로, IMO의 예상인 1.2배 가격차이일 경우 11.4억불의 연료비가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현 시장가격인 1.5배 가격차이가 날 경우는 28.5억불의 연간 연료비 증가액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다.

선주협회의 글로벌 환경규제 강화 추세에 대한 대응을 견인하기 위한 일련의 행보는 최근 전세계 해운의 핫이슈인 SOx 규제 대응에 미온적이던 국내 외항해운업계에 2020년를 기점으로 바뀌게 될 선박연료유 환경변화를 상기시키며 어떠한 선택이든 대응방안을 촉구하는 한편, 정부와 관련산업계의 공동대응을 유도하기 위한 역할을 해나갈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할만하다. 일본도 지난해부터 해운업계와 정부 관계당국, 정유업계 등이 관련 대책회의를 통해 대응방안을 준비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주협회가 해운업계와 정부가 SOx 규제 대응방향을 잡는데 방향타 역할을 해 글로벌 환경규제가 한국해운의 미래에 기회로 작용할 수 있기를 바래본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