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이후 극동행 서아프리카 미국선적 물동량 늘어 4분기 손익개선 기대

탱커선사들의 2018년 3분기(7-9월) 결산은 시황침체로 인해 거의 전선사가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란 원유의 제재로 극동행 서아프리카 및 미국 선적의 원거리 물동량이 활성화됨으로써 10월이후 VLCC 시황은 급회복했다. 원유선의 수급개선에 힘입어 프로덕트선 시황의 회복도 두드러지고 있다.
 

이로써 4분기(10-12)는 스팟시황의 회복기조가 손익개선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VLCC의 공동운항 조직인 ‘탱커스 인터내셔날’을 운영하는 벨기에 선사 유로나브의 2-3분기 결산은 순손실이 5,874만달러로 증가했다. 전년동기는 순손실 2,806만달러였다. 노르웨이계 DHT홀딩스의 적자도 전년동기의 506만달러에서 2147만달러로 악화됐다.
 

수에즈막스와 아프라막스 등 중형 선형이 주력인 유조선 선사들도 고전하기는 마찬가지 모양이다. 그리스 선사인 카코스의 순손실은 전년동기의 1000만달러에서 2479만달러 적자가 확대됐다. 노르웨이계의 노르딕 아메리칸 탱커스(NAT)의 순손익도 3797만달러의 적자(전년동기 3427만달러 적자)로 드러났다.
 

존 프레드릭슨이 이끄는 노르웨이 선사인 프론트 라인은 원유선 주력선사 가운데 유일하게 흑자를 확보했다. 프론트 라인의 순손익은 전년동기의 2407만달러의 적자에서 224만달러의 흑자로 전환했다. 기간평균 VLCC의 일일 용선료 환산수입이 전년동기에 비해 51%가 높은 1만9900달러였던 것이 한몫을 했다.
 

2017년이후 스팟 시황의 침체에 따라 수익악화를 겪어온 탱커선사들은 최근들어 겨우 시황침체에서 벗어나 4분기부터 손익개선이 실현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차코스에 따르면, 2018년 1-9월 평균 스팟시황은 VLCC가 1만2600달러, 수에즈막스는 8000달러, 아프라막스는 9000달러였다. 최근 스팟시황은 각각 5만6000달러, 4만4000달러, 2만8000달러로 공히 손익분기점을 넘어섰다.
 

프로덕트선의 경우, 18년 3분기 결산이 거의 모든 선가가 최종적자가 악화됐다. 덴마크선사인 톰사의 순손실은 전년동기의 420만달러에서 2490만달러로 확대됐다. 모나코 선사인 스콜피오의 순손실도 7170만달러로 전년동기 순손실 3694만달러보다 커졌다.
 

올 여름 MR형 스팟시황은 역사적인 하락세를 보이며 침체상황을 보였다. 원유가격의 상승에 따라 석유제품의 수요가 둔화됐기 때문이다. 석유제품 물동량의 톤마일도 감소해 선복수요 감소에 박차를 가했다. 톰사와 스콜피온의 MR형 기간중 평균은 일일 용선료환산수입이 전년동기에 비해 20-30%까지 하락해 채산선을 밑돌았다.
 

케미칼선은 노르웨이선사인 스톨트 닐센의 2018년 6-8월기 결산은 순이익이 전년동기대비 87% 감소한 233만달러였다. 케미칼 시황의 침체에 더해 벙커유의 상승이 순이익의 대폭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또다른 노르웨이선사인 오드 펠은 순손실이 3120만달러로 불어났다. 동사의 전년동기는 순손실은 1050만달러였다. 네덜란드 로테르담의 탱크터미널의 매각에 따른 추가손실을 계상한 것이 동사의 손실 확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팀 탱커스는 최종적자가 1454만달러로 축소됐다. 전년동기에는 2880만달러였는데 감손손실을 계상한 결과 최종적자가 3629만달러였다.
 

케미칼선 시황은 공급증가에 프로덕트선 유입 등이 겹쳐 수급완화 상태가 지속됐다. 향후 시황에 대해 오드 펠 경영진은 “2018년이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수급 균형개선에 기대를 표했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