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선 해운시장의 혼란이 글로벌 서플라이 체인의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컨테이너 부족이 심각해 혼란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물류인프라가 급증한 해상물동량를 따라가지 못해 컨테이너 회송이 장기화되는데다가 2019년부터 2년 연속 침체됐던 신조컨테이너 생산 상황도 영향을 미쳤다. 관련업계는 2021년에는 신컨테이너의 생산량이 늘어나지만 퇴출 컨테이너의 수도 많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부족감이 계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하고 있다.
 

NYK조사그룹이 집계한 ‘세계 컨테이너수송과 취항동향’에 따르면, 2019년말 전세계 컨테이너장비는 4,109만TEU로 전년대비 3.2% 증가했다. 2018년말 5.5% 증가에 비해 컨 생산량의 신장율이 크게 둔화됐다.

컨테이너 장비의 타입별 비율은 스탠다스형 드라이컨테이너가 88.5%이며 특수 드라이컨테이너가 2.8%, 리퍼컨테이너는 7.3% 등이다. 스탠다드형은 20피트형과 40 피트형 등이 있다 이중 40피트 하이큐브형이 해상운송의 주류여서 스탠다드형의 시장점유율가 약 60%에 이른다.


드라이컨테이너의 생산량은 2017년에 326만TEU, 2018년에는 385만TEU로 2년연속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컨테이너의 수요 급증은 미중 무역마찰에 따른 제재가 시행되기 전에 뛰어들기 수요가 증가한 것도 현재 컨테이너장비 부족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2019년은 전년에 비해 44%가 줄어든 232만TEU로 축소됐다. 뛰어들기 수요가 종료되고 불투명한 미래로 인해 컨테이너의 잉여감이 표면화된 것이다. 여기에 컨테이너 장비의 약 절반을 소유하고 있는 리스회사의 이익률 침체도 영향을 주었다. 장기 리스료는 2019년이 저점이었다.
 

2020년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세계 컨테이너 생산의 98%를 차지하는 중국의 공장이 수주간 이상 조업이 정지됐었다. 그로인해 상반기 생산량은 전년동기대비 36%나 감소했다. 그 이후 컨테이너 물동량이 급회복되면서 컨테이너 생산량이 급회복됐지만, 2020년 생산량은 224만TEU로 최근 2년연속 300만TEU를 밑돌고 있는 것이다.
 

매년 일정수의 컨테이너가 해체 등 시장에서 퇴출되기 때문에 2020년말 시점 스탠다드형 드라이컨테이너수량은 3,582만TEU로 추산된다. 이는 1.5% 줄어든 수준이며,  2년 연속 생산량이 침체된 영향으로 드라이 컨테이너의 수량전체도 마이너스가 됐고 컨테이너부족을 더욱 악화시키는 결과를 나은 것이다.
 

NYK조사그룹에 따르면 2021년의 컨테이너 생산량은 354만TEU이며 그중 40피트 하이큐브형에서만 230만TEU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리스기한의 만기 등으로 인해 2021년말 스탠다드형 컨테이너수는 3,542만TEU로 1.1% 감소할 것으로 예상돼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됐다.


2021년 컨테이너 수량이 마이너스로 예상되는 것은 신조 컨테이너는 증가하지만 리스기간 만료나 사용연한 만기가 돌아오는 컨테이너가 더 많기 때문이다.

한편 컨테이너의 부족감이 보다 강하면 재리스 계약이나 사용기한이 초과되어도 계속 사용하기도 해 전체적인 컨테이너 수량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