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업계, 인천항을 떠날 수도 있다”

 

 
 

 

●북항 목재단지 계획의 가장 큰 문제는?
우선 입주자 선정 기준이 잘못되었다. 컨소시엄 주관사 비율을 51% 이상으로 한정하고 참여업체 지분율을 10% 이상으로 정해서 최대 10개 업체만 참여할 수 있게 만들었다. IPA의 설명을 보면 목재 A단지 목재 B단지의 2개 컨소시엄을 구성할 수 있는데, 두 개 컨소시엄 주관사는 1만평 이상의 부지를 소유할 수 있다. 그러나 인천 목재단지에는 1만평 이상의 부지를 운영하고 있는 업체가 100여개 중 3개 업체에 지나지 않는다. 이는 대형업체 위주의 정책이라고 이해할 수 밖에 없다.

 

●목재단지의 규모도 상당히 축소되었는데?
본래 계획대로라면 29만 4,000평의 부지가 목재단지로 만들어져야 했다. 그러나 이번 계획에선 고작 3만 4,500평의 부지만 목재단지로 사용할 수 있다. 약 1/9 수준이다. IPA에선 전체 배후부지 중 목재단지의 중요성을 생각해서 40% 이상의 비율을 할애했다고 하는데, 절대적인 규모가 터무니없는 수준이다. 목재 클러스터 건립을 목표로 시작되었던 계획이 유명무실해진 것이다.

 

●이상적인 방안은 무엇인가?
우선적으로 51%의 주관사 참여 비율을 없애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 특정 대형업체가 하나의 단지를 관리한다는 것은 대표성이 없다. 인천 목재산업은 소규모 업체들이 모여 지금까지의 발전을 이뤘다. 목재단지를 주관하기 위해선 목재업계 전체를 위한 ‘공익성’이 보장되어야 하는데, IPA의 계획은 공익적인 면이 없다는 것이 문제이다. 결국 대형업체를 통해 IPA의 수입만 창출하겠다는 것이 아닌가. 목재산업에 대한 배려가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목재 클러스터의 중요성은?
배후단지의 목적은 관련산업을 집적화하고 이를 통한 산업육성과 항만 경쟁력 강화, 고용창출 등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이다. 인천의 목재산업은 전국 목재산업의 절반 이상의 규모를 차지하는 대표 산업이다. 그러나 목재업체가 인천 전역에 산재되어 있어 검역 및 방역에 어려움이 따르고, 450억 이상의 물류비가 낭비되고 있다. 또한 목재 운송시 발생하는 분진은 환경오염 문제가 있다. 항만배후단지에 목재클러스터를 구축하면 100개 이상의 업체가 집적화되어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고, 검역 및 방역, 운송도 한자리에서 이루어져 환경오염적 요소도 줄일 수 있다.

 

향후 대처 방안은? 

IPA 측에서 현재의 계획을 그대로 밀고 나간다면 대규모 시위 등 물리력을 행사하는 방법도 고려하고 있다. 인천시 측에서도 협회의 의견에 공감하고 있다. 청와대나 국토해양부 측에 우리의 입장을 전달할 계획이다. 평택이나 군산 등 다른 항만 배후부지로의 이전도 검토할 것이다. IPA가 지금처럼 인천지역의 목재업체를 무시한다면 인천항에서 사업을 진행해야할 이유가 없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